세르비아 구국정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비아 구국정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이 유고슬라비아를 점령한 후 세르비아에 수립한 괴뢰 정권이다. 1941년 4월 유고슬라비아 침공으로 인해 세르비아가 독일군 점령하에 놓이면서, 친독 성향의 밀란 아치모비치의 위원 정부가 수립되었다. 이후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이끄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저항이 거세지자, 친독 세력은 밀란 네디치를 수반으로 하는 세르비아 구국 정부를 수립했다. 구국 정부는 세르비아 국가 방위대와 세르비아 의용군단을 조직하여 파르티잔과 맞섰으며, 유대인과 로마인을 탄압하고 강제 수용소를 운영하는 등 나치의 정책을 수행했다. 1944년 소련군과 파르티잔이 베오그라드를 해방하면서 구국 정부는 붕괴되었고, 네디치와 각료들은 오스트리아로 도피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치 독일의 위성국 - 비시 프랑스
비시 프랑스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 남부와 식민지 일부를 통치한 친독 협력 정부로, 필리프 페탱이 수반이었으며 권위주의 통치, 유대인 박해 등으로 악명 높았고, 현재까지도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다. - 나치 독일의 위성국 - 뵈멘-메렌 보호령
뵈멘-메렌 보호령은 나치 독일이 체코슬로바키아 강점 후 보헤미아와 모라비아 지역에 세운 괴뢰 국가로, 독일의 보호령으로서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독일의 전쟁 수행을 위한 인력 및 자원 공급 기지 역할을 수행하며 체코인 탄압과 홀로코스트가 자행되다 독일 패망과 함께 소멸되었다. - 1944년 폐지 - 프랑스 민병대
프랑스 민병대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비시 프랑스에서 조직되어 레지스탕스 진압, 치안 유지, 유대인 강제 수용 등의 임무를 수행한 준군사 조직으로, 극우 성향 인사와 친독 협력자들이 주축이었으나 해방 후 보복과 처벌을 받았다. - 1944년 폐지 - 벨기에 북프랑스 군정청
벨기에 북프랑스 군정청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이 벨기에와 프랑스 북부를 점령한 후 설치한 군정 기관으로, 점령 지역 통치, 경제 통제, 나치즘 선전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자원 약탈, 인권 유린 등의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연합군의 해방 작전과 레지스탕스 운동으로 와해되었다.
세르비아 구국정부 | |
---|---|
기본 정보 | |
![]() | |
![]() | |
공식 명칭 | 세르비아 구국 정부 |
현지 명칭 | (세르비아어) |
독일어 명칭 | Regierung der nationalen Rettung |
위치 | 유고슬라비아 점령 지역, 세르비아 군정청 |
수도 | 베오그라드 |
역사 | |
성립 | 1941년 |
붕괴 | 1944년 |
주요 사건 | 유고슬라비아 침공 이후 성립, 베오그라드 공세로 붕괴 |
이전 국가 | 유고슬라비아 왕국 |
이후 국가 | 세르비아 인민 공화국 |
정치 | |
정치 체제 | 나치 독일의 괴뢰국 |
군사령관 (독일) | 프란츠 뵈메 (1941년) 하랄트 투르너 (1941년-1942년) 발터 우펜캄프 (1942년) 에곤 베너 (1942년-1943년) 프란츠 노이하우젠 (1943년-1944년) |
의장 (총리) | 밀란 아치모비치 (1941년) 밀란 네디치 (1941년-1944년) |
인구 | |
1941년 추정 | 3,810,000명 |
통화 | |
통화 | 세르비아 디나르 |
기타 | |
이념 | 나치즘 |
2. 역사
1941년 4월, 추축국의 유고슬라비아 침공으로 유고슬라비아 왕국은 해체되었다. 세르비아 지역은 독일군 점령 하에 놓였고, 독일은 자원 확보와 교통로 통제를 위해 괴뢰 정부를 수립하기로 결정했다. 1941년 5월 30일, 밀란 아치모비치를 수반으로 하는 인민위원회 정부가 수립되었으나, 이는 단명에 그쳤다.[6]
파르티잔의 저항이 거세지자, 독일 군정은 행정부 강화와 개혁을 추진했다. 1941년 8월 29일, 전 유고슬라비아 왕국 육군 참모총장이었던 밀란 네디치가 새로운 총리로 취임하면서 세르비아 구국정부가 수립되었다.[7] 독일은 네디치가 총리직을 수락하지 않으면 벨그라드를 포함한 세르비아 전역에 불가리아군을 투입하겠다고 위협했다.[7] 네디치는 코스타 페차나츠와 그의 부대를 점령 정권에 제공하도록 독일이 설득한 후에야 동의했다.[8]
구국정부는 세르비아 국가 경비대와 세르비아 자원군단 등 협력자 부대를 조직하여 파르티잔 진압에 나섰다. 디미트리예 료티치가 이끄는 세르비아 자원군단은 전투에서의 용맹함으로 독일 지휘관들의 칭찬을 받았다.[11] 그러나 이들은 유대인, 로마인, 반독일 세력 탄압에도 가담했다.
세르비아 괴뢰 정부와 체트니크 간의 협력은 1941년 가을, 우지체 작전 기간에 시작되었다.[15] 체트니크는 독일의 보복으로 인한 세르비아인 사상자를 최소화하기 위해 파르티잔을 제압하고자 했고, 네디치 정권의 군사 및 행정 기구 내에서 확고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했다.[15]
구국정부는 나치 독일의 점령 정책을 수행했지만, 실질적인 권한은 독일 군정이 가지고 있었다. 네디치는 독일의 간섭에 불만을 품고 여러 차례 사임을 시도했으나 독일은 허락하지 않았다. 1942년 3월, 네디치는 독일에게 정부 지지도를 높이기 위한 제안을 담은 각서를 보냈으나, 독일 고위 지휘부는 이를 무시했다.[14]
크로아티아 독립국 등 인접 국가에서 피난 온 세르비아 난민들을 수용하는 것은 구국정부가 성공을 거둔 분야 중 하나였다.
1944년 10월, 소련군과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이 베오그라드를 해방시키면서 구국정부는 붕괴되었다.[17] 밀란 네디치와 각료들은 오스트리아로 도피했다.
구국정부의 내각 각료들은 대부분 전쟁 이후 체포되어 처형되거나 국외에서 사망하였다.
직책 | 초상화 | 이름 (출생-사망) | 임기 | 비고 |
---|---|---|---|---|
총리 | ![]() | 밀란 네디치(Milan Nedić) (1878–1946) | 1941년 8월 29일 ~ 1944년 10월 4일 | 전쟁 후 체포되어 베오그라드 병원 창문에서 추락해 사망했다. |
내무부 장관 | ![]() | 밀란 아치모비치(Milan Aćimović) (1898–1945) | 1941년 8월 29일 ~ 1942년 11월 10일 | 1945년 5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 의해 사살되었다. |
![]() | 타나시예 디니치(Tanasije Dinić) (1891–1946) | 1942년 11월 10일 ~ 1943년 11월 5일 | 전쟁 후 유고슬라비아 당국에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 |
-- | 밀란 네디치(Milan Nedić) (1878–1946) | 1943년 11월 5일 ~ 1944년 10월 4일 | 1943년 11월부터 총리 겸 내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
건설부 장관 | ![]() | 오그넨 쿠즈마노비치(Ognjen Kuzmanović) (1895–1967) | 1941년 8월 29일 ~ 1944년 10월 4일 | 정부 붕괴 후 사망할 때까지 독일에 체류했다. |
우정전신부 장관 | -- | 요시프 코스티치(Josif Kostić) (1877–1960) | 1941년 8월 29일 ~ 1944년 10월 4일 | 전쟁을 살아남아 1960년 스위스에서 사망했다. |
대통령 위원회 장관 | -- | 모므칠로 얀코비치(Momčilo Janković) (1883–1944) | 1941년 8월 29일 ~ 1941년 10월 5일 | 다른 장관들과의 의견 충돌 후 정부를 떠났으며, 1944년 파르티잔에 의해 처형되었다. |
교육부 장관 | -- | 밀로시 트리부나츠(Miloš Trivunac) (1876–1944) | 1941년 8월 29일 ~ 1941년 10월 7일 | 1944년 파르티잔에 의해 처형되었다. |
![]() | 벨리보르 요니치(Velibor Jonić) (1892–1946) | 1941년 10월 7일 ~ 1944년 10월 4일 | 전쟁 후 유고슬라비아 당국에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 |
재무부 장관 | -- | 두샨 레티차(Dušan Letica) (1884–1945) | 1941년 8월 29일 ~ 1943년 10월 26일 | 1943년 정부를 떠났고, 1945년 7월 소비에트에 의해 함부르크에서 체포되어 유고슬라비아로 송환되었다. 전쟁 후 처형되었다. |
-- | 류비샤 M. 보이치(Ljubiša M. Bojić) (1912–1980) | 1943년 10월 26일 ~ 1944년 2월 22일 | 1944년 정부를 떠났고, 1980년 여름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에 의해 처형되었다. | |
-- | 두샨 조르제비치(Dušan Đorđević) (1880–1969) | 1944년 2월 22일 ~ 1944년 10월 4일 | 전쟁을 살아남아 1969년 오스트리아에서 사망했다. | |
노동부 장관 | ![]() | 판타 드라슈키치(Panta Draškić) (1881–1957) | 1941년 8월 29일 ~ 1942년 11월 10일 | 전쟁 후 유고슬라비아에서 수감되었으며, 네디치 정권 구성원 중 유일하게 처형되지 않고 국가에 남은 인물이다.[26] |
사법부 장관 | -- | 체도미르 마르야노비치(Čedomir Marjanović) (1906–1945) | 1941년 8월 29일 ~ 1942년 11월 10일 |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미국군에 체포되어 유고슬라비아 당국에 인도되었고, 전쟁 후 처형되었다. |
![]() | 보골류브 쿠윤드지치(Bogoljub Kujundžić) (1887–1949) | 1942년 11월 10일 ~ 1944년 10월 4일 | 전쟁을 살아남아 1949년 사망했다. | |
사회정책 및 국민보건부 장관 | ![]() | 요반 미유슈코비치(Jovan Mijušković) (1886–1944) | 1941년 8월 29일 ~ 1943년 10월 26일 |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 체포되어 1944년 처형되었다. |
-- | 스토이미르 도브로사블례비치(Stojimir Dobrosavljević) | 1943년 10월 26일 ~ 1943년 11월 6일 | 1943년 정부를 떠났고 전쟁 후 처형되었다. | |
타나시예 디니치(Tanasije Dinić) (1891–1946) | 1943년 11월 6일 ~ 1944년 10월 4일 | 전쟁 후 유고슬라비아 당국에 체포되어 유고슬라비아 당국에 의해 처형되었다. | ||
농업부 장관 | -- | 밀로시 라도사블례비치(Miloš Radosavljević) (1889–1969) | 1941년 8월 29일 ~ 1942년 11월 10일 | 베오그라드에서 탈출하여 전쟁을 살아남았고, 1969년 불가리아에서 사망했다. |
-- | 라도사브 베셀리노비치(Radosav Veselinović) (1904–1945) | 1942년 11월 10일 ~ 1944년 10월 4일 | 전쟁 후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 |
국민경제부 장관 | ![]() | 미하일로 올찬(Mihailo Olćan) (1894–1961) | 1941년 8월 29일 ~ 1942년 10월 11일 | 전쟁 후 탈출하여 1961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사망했다. |
-- | 밀로라드 네델코비치(Milorad Nedeljković) (1883–1961) | 1942년 11월 10일 ~ 1944년 10월 4일 | 전쟁 후 탈출하여 1961년 프랑스에서 사망했다. | |
교통부 장관 | ![]() | 주라 도키치(Đura Dokić) (1873–1946) | 1941년 10월 7일 ~ 1942년 11월 10일 | 전쟁 후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
2. 1. 성립 배경
1941년 4월 추축국의 유고슬라비아 침공 이후, 독일은 중요한 자원을 장악하기 위해 세르비아 본토에 군정을 설치했다. 여기에는 다뉴브 강 수로와 유럽을 불가리아 및 그리스와 연결하는 철도 노선, 세르비아에서 생산되는 비철금속 등 주요 교통로가 포함되었다. 독일은 과도한 병력 동원을 피하기 위해 괴뢰 정부를 수립했다.[6] 1941년 5월 30일 밀란 아치모비치 지휘하에 수립된 위원 정부는 단명한 최초의 괴뢰 정부였다. 그는 반공주의자였으며 전쟁 전 독일 경찰과 접촉한 적이 있었다. 그의 내각은 9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그중 다수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전 내각 구성원이었고 친독일 성향이었다. 이 정권은 실질적인 권력이 없었고 독일의 도구에 불과했다. 디미트리예 료티치가 두 명의 장관을 사임시킨 후 위원 정부는 붕괴되었다. 그러나 아치모비치는 내무장관으로 네디치 정부에 합류했다. 독일 점령군과 아치모비치 정부에 대한 공산당 파르티잔의 반란이 시작되자, 독일 군정의 SS 사령관인 하랄트 터너는 행정부의 강화와 개혁을 제안했다. 전 유고슬라비아 왕국 육군 참모총장인 밀란 네디치 장군이 신정부 수장으로 선출되었다.1941년 8월 29일, 네디치는 위원 정부의 사임에 따라 총리로 취임했다. 독일은 그가 받아들이지 않으면 벨그라드를 포함한 세르비아 전역에 불가리아군을 투입하겠다고 위협했다.[7] 네디치는 독일이 코스타 페차나츠를 설득하여 그와 그의 부대를 점령 정권에 제공하도록 한 후에야 동의했다.[8] 이 정권은 상당수의 인구에 의해 관용되었고, 심지어 일부 인구와 특정 사회 계층에 의해 열렬히 지지되었지만, 대다수의 세르비아 국민들에게는 여전히 인기가 없었다. 이 정권을 지지한 사람들은 군부, 국가 관료, 세르비아 지식인 및 일반 국민의 일부였다.[9] 전후 시대에는 세르비아 민족주의자들과 유고슬라비아 공식 담론 모두에서 이 정권의 일부 인구에 대한 인기가 축소되었다.[3] 그의 초대 내각은 15명으로 구성되었다. 독일은 그의 권위 있는 인물이라는 평판에 특히 깊은 인상을 받았지만, 이 정권은 추축국 사이에서도 국제적인 지위를 얻지 못했다. 세르비아 군사 사령관인 하인리히 단켈만은 네디치와 그의 정부에 높은 수준의 권한과 독립성을 부여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이 협상은 기록되지 않았으므로 단켈만이 프란츠 뵈메 장군으로 교체된 후 구두 합의는 무효화되었다. 터너는 단켈만의 후임자들을 설득하여 구국 정부에 더 많은 권력을 부여하려고 시도했지만 그의 요청은 무시되었다. 그들은 그가 세르비아 헌병대와 다른 부대를 통합하여 세르비아 국가 경비대를 조직하는 것을 허용했다.[10]
2. 2. 내정과 나치 독일과의 관계
구국정부는 나치 독일의 점령 정책을 수행하는 한편, 파르티잔에 대항하는 반공주의적 입장을 취했다.[35] 밀란 네디치는 세르비아 민족의 생존을 위해 독일에 협력하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프랑스 비시 정권의 필리프 페탱과 유사한 입장이었다.[35] 그러나 구국정부의 실질적인 권한은 제한적이었으며, 독일 군정이 세르비아의 내정에 깊숙이 관여했다.[41] 독일은 정부의 사소한 결정에도 개입했으며, 이로 인해 세르비아인들 사이에서 네디치에 대한 지지는 더욱 감소했다.[10] 네디치는 독일의 간섭에 불만을 품고 여러 차례 사임을 시도했으나, 독일은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10]1942년 3월, 네디치는 독일에게 정부 지지도를 높이기 위한 제안을 담은 각서를 보냈으나, 독일 고위 지휘부는 이를 무시했다. 네디치는 1942년 9월에 다시 한번 사임을 위협했지만, 독일은 그를 설득하여 직책에 머물게 했다.[14]
구국정부는 세르비아 국가 방위대와 세르비아 의용군단을 조직하여 파르티잔과의 전투에 투입했다.[37] 이들 군사 조직은 나치 독일의 지원을 받았으며,[36] 유대인, 로마인, 반독일 세력에 대한 탄압에 가담하기도 했다.[38] 세르비아 자원군단은 SS나 베어마흐트의 일부가 아니었지만, 명목상으로는 괴뢰 정부의 지휘를 받았고 정부의 지원을 받았다.[11]
세르비아 정부와 세르비아 점령 지역의 불가리아 점령군 사이의 관계는 긴장되었다. 불가리아 제6사단의 한 대령은 현지 주민들이 독일인만큼 불가리아인을 싫어한다고 지적했다.[12] 네디치는 독일에게 불가리아군의 철수를 요구하며 그들의 존재에 대해 자주 불평했다.[17]
구국정부는 인접 국가에서 피난 온 세르비아 난민들을 수용하는 데 힘썼다. 특히 크로아티아 독립국에서 자행된 세르비아인 학살을 피해 많은 난민들이 세르비아로 유입되었다.
1941년 가을, 우지체 작전 기간에 세르비아 괴뢰 정부와 체트니크 간의 협력이 시작되었다.[15] 체트니크는 독일의 보복으로 인한 세르비아인 사상자를 최소화하기 위해 파르티잔을 제압하고자 했고, 네디치 정권의 군사 및 행정 기구 내에서 확고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했다.[15] 밀란 아치모비치를 포함한 세르비아 정부의 많은 구성원이 체트니크와 접촉을 유지했다.[15]
2. 3. 종말
1944년에 전세가 연합국 측으로 기울면서 구국정부의 입지는 약화되었다. 그해 10월, 소련군과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은 베오그라드를 해방시켰다. 밀란 네디치와 구국정부 각료들은 오스트리아로 도피했고, 이로써 구국정부는 붕괴되었다.[18]구국 정부는 세르비아 국가 친위대(''네디체프치'')를 창설하여 치안 유지를 담당하게 했다. 1944년 10월, 적군이 베오그라드에 접근하자 세르비아 국가 친위대는 미하일로비치의 지휘 아래로 넘어갔다.[17] 그 후 슬로베니아에서 잠시 독일군 지휘 아래 싸우다가, 1945년 5월 영국군에 의해 포로로 잡혔다.[20]
구국정부의 내각 각료들은 대부분 전쟁 이후 체포되어 처형되거나 국외에서 사망하였다.
직책 | 초상화 | 이름 (출생-사망) | 임기 | 비고 |
---|---|---|---|---|
총리 | 밀란 네디치(Milan Nedić) (1878–1946) | 1941년 8월 29일 ~ 1944년 10월 4일 | 전쟁 후 체포되어 베오그라드 병원 창문에서 추락해 사망했다. | |
내무부 장관 | 밀란 아치모비치(Milan Aćimović) (1898–1945) | 1941년 8월 29일 ~ 1942년 11월 10일 | 1945년 5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 의해 사살되었다. | |
타나시예 디니치(Tanasije Dinić) (1891–1946) | 1942년 11월 10일 ~ 1943년 11월 5일 | 전쟁 후 유고슬라비아 당국에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 ||
-- | 밀란 네디치(Milan Nedić) (1878–1946) | 1943년 11월 5일 ~ 1944년 10월 4일 | 1943년 11월부터 총리 겸 내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
건설부 장관 | 오그넨 쿠즈마노비치(Ognjen Kuzmanović) (1895–1967) | 1941년 8월 29일 ~ 1944년 10월 4일 | 정부 붕괴 후 사망할 때까지 독일에 체류했다. | |
우정전신부 장관 | -- | 요시프 코스티치(Josif Kostić) (1877–1960) | 1941년 8월 29일 ~ 1944년 10월 4일 | 전쟁을 살아남아 1960년 스위스에서 사망했다. |
대통령 위원회 장관 | -- | 모므칠로 얀코비치(Momčilo Janković) (1883–1944) | 1941년 8월 29일 ~ 1941년 10월 5일 | 다른 장관들과의 의견 충돌 후 정부를 떠났으며, 1944년 파르티잔에 의해 처형되었다. |
교육부 장관 | -- | 밀로시 트리부나츠(Miloš Trivunac) (1876–1944) | 1941년 8월 29일 ~ 1941년 10월 7일 | 1944년 파르티잔에 의해 처형되었다. |
벨리보르 요니치(Velibor Jonić) (1892–1946) | 1941년 10월 7일 ~ 1944년 10월 4일 | 전쟁 후 유고슬라비아 당국에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 ||
재무부 장관 | -- | 두샨 레티차(Dušan Letica) (1884–1945) | 1941년 8월 29일 ~ 1943년 10월 26일 | 1943년 정부를 떠났고, 1945년 7월 소비에트에 의해 함부르크에서 체포되어 유고슬라비아로 송환되었다. 전쟁 후 처형되었다. |
-- | 류비샤 M. 보이치(Ljubiša M. Bojić) (1912–1980) | 1943년 10월 26일 ~ 1944년 2월 22일 | 1944년 정부를 떠났고, 1980년 여름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에 의해 처형되었다. | |
-- | 두샨 조르제비치(Dušan Đorđević) (1880–1969) | 1944년 2월 22일 ~ 1944년 10월 4일 | 전쟁을 살아남아 1969년 오스트리아에서 사망했다. | |
노동부 장관 | 판타 드라슈키치(Panta Draškić) (1881–1957) | 1941년 8월 29일 ~ 1942년 11월 10일 | 전쟁 후 유고슬라비아에서 수감되었으며, 네디치 정권 구성원 중 유일하게 처형되지 않고 국가에 남은 인물이다.[26] | |
사법부 장관 | -- | 체도미르 마르야노비치(Čedomir Marjanović) (1906–1945) | 1941년 8월 29일 ~ 1942년 11월 10일 |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미국군에 체포되어 유고슬라비아 당국에 인도되었고, 전쟁 후 처형되었다. |
보골류브 쿠윤드지치(Bogoljub Kujundžić) (1887–1949) | 1942년 11월 10일 ~ 1944년 10월 4일 | 전쟁을 살아남아 1949년 사망했다. | ||
사회정책 및 국민보건부 장관 | 요반 미유슈코비치(Jovan Mijušković) (1886–1944) | 1941년 8월 29일 ~ 1943년 10월 26일 |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 체포되어 1944년 처형되었다. | |
-- | 스토이미르 도브로사블례비치(Stojimir Dobrosavljević) | 1943년 10월 26일 ~ 1943년 11월 6일 | 1943년 정부를 떠났고 전쟁 후 처형되었다. | |
타나시예 디니치(Tanasije Dinić) (1891–1946) | 1943년 11월 6일 ~ 1944년 10월 4일 | 전쟁 후 유고슬라비아 당국에 체포되어 유고슬라비아 당국에 의해 처형되었다. | ||
농업부 장관 | -- | 밀로시 라도사블례비치(Miloš Radosavljević) (1889–1969) | 1941년 8월 29일 ~ 1942년 11월 10일 | 베오그라드에서 탈출하여 전쟁을 살아남았고, 1969년 불가리아에서 사망했다. |
-- | 라도사브 베셀리노비치(Radosav Veselinović) (1904–1945) | 1942년 11월 10일 ~ 1944년 10월 4일 | 전쟁 후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 |
국민경제부 장관 | 미하일로 올찬(Mihailo Olćan) (1894–1961) | 1941년 8월 29일 ~ 1942년 10월 11일 | 전쟁 후 탈출하여 1961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사망했다. | |
-- | 밀로라드 네델코비치(Milorad Nedeljković) (1883–1961) | 1942년 11월 10일 ~ 1944년 10월 4일 | 전쟁 후 탈출하여 1961년 프랑스에서 사망했다. | |
교통부 장관 | 주라 도키치(Đura Dokić) (1873–1946) | 1941년 10월 7일 ~ 1942년 11월 10일 | 전쟁 후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
구국정부는 세르비아를 14개 주(окрузи|okruzisr)와 101개 시정촌(срезови|srezovisr)으로 나누었다.[22] 1941년 10월, 독일은 기존 행정 구역이 부적합하다고 판단하여 네디치 정부에 영토 재편성을 명령했다.[23] 1941년 12월 4일 발령된 명령에 따라, 독일군 사령관은 군사 행정 구조를 조정했고, 그 결과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 시절의 지구(okrugsr) 단위 구분이 복원되었다.[23]
3. 행정 구역
바나트로 알려진 베리키 베체렉 주는 공식적으로는 세르비아의 영토였으나, 실제로는 현지 독일계 주민들이 운영하는 자치 지역이었다.[24]군(郡) 지구(District) 벨그라드 군 벨그라드, 그로츠카, 라자레바츠, 믈라데노바츠, 팔랑카, 스메데레보, 소포트, 움카, 벨리코 오라셰 이반지차 군 이스토크, 이반지차, 포두예보, 미트로비차, 노비 파자르, 라슈카, 스르비차, 부치트른 크라구예바츠 군 아란델로바츠, 고르니 밀라노바츠, 그루자, 크라구예바츠, 오라샤츠, 라차, 루드니크 크랄례보 군 차차크, 구차, 크랄례보, 프렐리나 크루셰바츠 군 알렉산드로바츠, 브루스, 크루셰바츠, 라잔, 트르스테니크 야고디나 군 추프리야, 데스포토바츠, 야고디나, 파라친, 레코바츠, 스빌라이나츠, 바르바린 레스코바츠 군 쿠르슈믈리야, 레바네, 레스코바츠, 프로쿠플례, 블라디친 한, 블라소틴체 니슈 군 알렉시나츠, 벨라 팔랑카, 루즈니차, 니슈, 페트로바츠, 스브를리크, 지트코바츠 포자레바츠 군 골루바츠, 쿠체보, 페트로바츠, 포자레바츠, 벨리코 그라디슈테, 자바리, 자구비차 샤바츠 군 보가티치, 크루판, 류보비야, 로즈니차, 오브레노바츠, 샤바츠, 블라디미르치 우지체 군 아릴례, 바이나 바슈타, 차예티나, 코셰리치, 포제가, 우지체 발례보 군 카메니차, 미오니차, 발례보, 우브 베리키 베체렉 군 알리부나르, 벨라 크르크바, 야샤 토미치, 키킨다, 코바치차, 코빈, 노바 칸지자, 노비 베체이, 판체보, 세찬, 베리키 베체렉, 브르샤츠 자예차르 군 볼례바츠, 보르, 브르자 팔랑카, 도니 밀라노바츠, 클라도보, 크냐제바츠, 크랄례보 셀로, 네고틴, 살라시, 소코반야, 자예차르
4. 군사
밀란 네디치는 라디오 연설을 통해 공산주의 저항 세력에게 무기를 내려놓으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1942년 1월, SS 및 경찰 지도자인 아우구스트 마이즈너가 국가 친위대의 지휘권을 가져가면서 네디치는 통제력을 잃었다.[10] 구국 정부는 점차 독일의 영향력 아래 놓였고, 세르비아인들 사이에서 네디치에 대한 지지는 더욱 감소했다.
세르비아 자원군단의 지도자인 디미트리예 료티치는 총리에게 어느 정도 영향력을 행사했다. 네디치는 료티치가 자신의 후계자가 될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11] 세르비아 자원군단은 처음에는 SS나 베어마흐트 소속이 아니었고, 명목상 괴뢰 정부의 지휘를 받으며 지원을 받았다.[11] 1944년에 공식적으로 무장친위대 소속이 되었지만, 전쟁 막바지였기 때문에 SS 군복을 갖출 시간과 자원이 부족하여 주로 이탈리아/유고슬라비아 군복을 착용했다.
세르비아 정부와 불가리아 점령군 사이에는 긴장 관계가 있었다. 불가리아 제6사단의 한 대령은 현지 주민들이 독일인만큼 불가리아인을 싫어한다고 언급했다.[12] 네디치는 독일에게 불가리아군의 철수를 요구하며 불만을 표했다.[17] 바나트 지역에는 현지 독일 소수 민족이 관리하는 특별 행정구역이 있었고, 세르비아 괴뢰 정부는 이를 명목상 통제하에 있는 민간 행정으로 인정했다. 바나트에는 현지 독일계 주민들로 구성된 바나트 국가 친위대가 창설되었는데, 1942년 3월에는 장교 94명과 사병 846명이 있었다.[13]
1942년 3월, 네디치는 독일에게 정부 지지도를 높이기 위한 제안을 담은 각서를 보냈다. 여기에는 국가원수 선거, 단일 국가 정당 결성, 국가원수에게 SDS 지휘권 부여, 세르비아 정부 고위급에만 간섭, 불가리아군 철수 등이 포함되었다. 파울 바더 장군은 네디치에게 각서 철회를 요구했지만, 네디치는 거부하고 각서를 베를린으로 보냈다. 독일 고위 지휘부는 이를 무시했고, 네디치는 1942년 9월에 다시 사임을 위협했지만 독일은 이를 거절하고 그를 설득했다. 그럼에도 세르비아 주둔 독일 베어마흐트 장교들은 네디치를 신뢰할 수 있는 인물로 평가했다.[14]
체트니크와의 협력은 1941년 가을 우지체 작전 기간에 시작되었다. 체트니크는 독일의 보복으로 인한 세르비아인 사상자를 최소화하고, 네디치 정권의 군사 및 행정 기구 내에서 기반을 마련하고자 했다. 밀란 아치모비치를 포함한 세르비아 정부의 많은 구성원이 체트니크와 접촉했으며, 그는 독일군과 체트니크 지도자 드라자 미하일로비치 사이의 연락 역할을 했다. 여러 체트니크 부대는 세르비아 괴뢰 정부의 친나치 협력자 부대에서 복무하며 "합법화"되었지만, 동시에 독일군과 보조 부대에 대한 활동에도 참여했다. 정부군은 체트니크에게 무기와 물자를 제공하고 정보를 제공했다.[15]
합법화된 체트니크 부대에는 페차나츠 체트니크가 있었는데, 1941년 8월부터 세르비아 정부군과 함께 파르티잔과 싸웠다. 독일군은 그들을 신뢰하지 않았다. 1942년 5월, 합법화된 체트니크는 최대 13,400명에 달했다. 대부분의 합법화된 체트니크 부대는 1942년 말에 해산되었고, 마지막 부대는 1943년 3월에 해산되었다. 일부는 SDS 또는 SDK에 합류했지만, 대부분은 미하일로비치의 불법 체트니크로 돌아갔다.[16] 체트니크는 1943년에 세르비아 괴뢰 정부를 우회하여 독일군과 협정을 맺었고, 네디치와 그의 정권은 국민들의 지지를 잃었다. 정부 관리, 군인, 경찰관을 포함한 많은 행정부 구성원들이 체트니크와 비밀 거래를 했다. 여기에는 아치모비치, 베오그라드 시장 드라고미르 요바노비치, 국가경비대 사령관 미오드라그 다마야노비치 장군이 포함되었다.[17]
4. 1. 세르비아 국가 방위대
세르비아 국가 방위대(Српска државна стража, СДС)는 세르비아 구국정부의 주요 군사 조직이었다. 전 유고슬라비아 헌병대 연대 출신으로 구성되었으며, 독일군 당국의 승인을 받아 창설되었다.[10] 초기에는 밀란 네디치가 총사령관이었으나, 1942년부터는 상급 SS 및 경찰 지도자가 지휘권을 장악했다.[10] 세르비아 국가 방위대는 밀란 네디치의 이름을 따서 ''네디체프치''(Nedićevci)로도 불렸다.
초기에 13,400명으로 구성되었으며,[19] 도시 경찰, 농촌 지역 부대, 국경 수비대의 세 부대로 나뉘었다. 1943년 말에는 병력이 36,716명으로 증가했다.[10]
1944년 10월, 베오그라드 공세로 적군이 베오그라드에 접근하자, 도망치는 네디치 정부에 의해 미하일로비치에게 지휘권이 이양되었다.[17] 이후 슬로베니아에서 잠시 독일군 지휘 아래 싸우다가, 1945년 5월 영국군에 의해 이탈리아-유고슬라비아 국경 근처에서 포로로 잡혔다.[20]
세르비아 국가 방위대는 독일군이 유럽 전역에서 노획한 무기와 탄약으로 무장했으며, 5개 지역(베오그라드(벨그라드), 크랄예보(크랄예보), 니슈(니슈), 발례보(발례보), 자예차르(자예차르))으로 나뉜 정적인 부대로 조직되었다. 각 지역은 3개 구역으로 나뉘었고, 각 구역에는 하나 이상의 세르비아 국가 친위대 중대가 있었다.[10] 바나트 지역에서 활동한 바나트 국가 친위대(Banat State Guard)라는 독립 부대는 1,000명 미만이었다.[13]
4. 2. 세르비아 의용군단
세르비아 의용군단(Српски добровољачки корпус, СДК)은 파시스트 조직인 유고슬라비아 민족 운동(ZBOR)의 당원들을 중심으로 결성된 군사 조직이다.[11] 초기에는 구국정부의 지휘를 받았으나,[11] 1944년에 공식적으로 무장친위대의 일부가 되었다.[11] 전쟁이 끝나갈 무렵에는 SS 군복을 갖출 시간과 자원이 부족했기 때문에, SDK는 주로 이탈리아/유고슬라비아 군복을 계속 착용했다.
의용군단은 파르티잔과의 전투에서 용맹함을 인정받아 독일 지휘관들의 칭찬을 받기도 했다.[11] 1943년 세르비아 의용 부대는 세르비아 의용 군단으로 개칭되었고,[54] 1944년, 군단과 독일군 연락 장교는 무장친위대로 개편되어 세르비아 SS 군단이 되었다. 세르비아 SS 군단은 4개 연대, 각 연대는 3개 대대와 1개 훈련 대대로 구성되었다.
4. 3. 기타 군사 조직
국가 친위대 외에도 여러 다른 부대가 세르비아에서 독일군과 함께 싸웠다. 1941년 9월 세르비아 자원 부대로 구성된 후 세르비아 자원군은 파시스트 유고슬라비아 민족 운동의 일원인 디미트리예 료티치가 지휘했다. 이 조직은 19개 부대로 나뉘었고, 세르비아 자원군으로 개명된 후 중대, 대대, 연대로 구성된 새로운 구조를 받았다. 약 1만 2천 명의 대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약 150명의 크로아티아인이 포함되었다. 독일군이 신뢰한 유일한 세르비아 협력 부대였으며, 전투에서의 용맹함으로 독일 지휘관들의 칭찬을 받았다.[11]
페차나츠 체트니크는 "합법화"되어 1943년 무장 해제될 때까지 독일군과 괴뢰 정부를 위해 싸웠다.[16] 백색 러시아 자원봉사자들로 구성된 러시아 보호 군단도 편성되었다. 이는 공산당 파르티잔에 맞서 싸우고자 했던 세르비아에 거주하는 백색 이민자들로 구성되었으며, 약 300명의 소련 포로가 포함되었다.[21]
협력자 군대는 체트니크 코스타 페차나츠(Kosta Pećanac)에게 충실한 일파가 가담함으로써 병력을 확장했다. 그들은 네디치와 독일 점령군에 동조하기보다는 독자적인 전후 미래를 그리며 티토의 파르티잔과 싸웠다.[32] 그러나 체트니크가 구국 정부에 협력하게 되면서 영향력이 감소하고 페차나츠는 체트니크의 사주를 받은 자에 의해 암살된다.
세르비아 의용 군단은 1943년 봄에 발족했다. 1944년, 군단과 독일군 연락 장교는 무장친위대로 개편되어 세르비아 SS 군단이 되었다. 세르비아 SS 군단은 4개 연대, 각 연대는 3개 대대와 1개 훈련 대대로 구성되었다.
5. 인종 박해
점령 지역 전체에 나치의 인종 차별 법이 도입되어 유대인과 로마인들에게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나치즘에 반대하는 사람들의 투옥도 야기했다. 세르비아에는 여러 강제 수용소가 설립되었고, 1942년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반프리메이슨 전람회에서는 베오그라드가 유대인으로부터 해방되었다고 선포되었다. 1942년 4월 1일, 세르비아 게슈타포가 결성되었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점령 지역의 나치가 운영하는 강제 수용소에 약 12만 명이 수감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5만 명에서 8만 명이 사망했다.[25] 반지차 강제 수용소는 독일군과 네디치 정권이 공동으로 운영했다. 에스토니아에 이어 세르비아는 유럽에서 두 번째로 유대인이 없다고 선포된 국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약 1만 4,500명의 세르비아 유대인(세르비아 유대인 인구 1만 6,000명의 90%)이 학살당했다.
협력자 무장 부대는 유대인, 로마인, 그리고 반독일 저항 세력에 가담하거나 그 구성원으로 의심되는 세르비아인의 대량 학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담했다. 점령 지역으로 피난 온 일부 크로아티아인들은 차별을 받지 않았다. 전쟁 후, 세르비아 지도자들은 이러한 많은 사건들에 대한 세르비아의 연루와 세르비아 협력 문제에 대해 역사 수정주의를 시도했다.
점령 지역에 설립된 강제 수용소는 다음과 같다.
6. 전후 상황
밀란 네디치는 전쟁 후 유고슬라비아 당국에 체포되었으나, 재판을 받기 전 베오그라드 병원 창문에서 추락하여 사망했다.[60] 그의 죽음은 자살로 추정된다.
구국정부의 각료들과 협력자들은 대부분 유고슬라비아 당국에 체포되어 처형되거나 수감되었다. 다음은 구국정부 각료들의 전후 상황이다.
직책 | 이름 | 비고 |
---|---|---|
총리 | 밀란 네디치 | 전쟁 후 체포되어 베오그라드 병원 창문에서 추락해 사망했다.[60] |
내무부 장관 | 밀란 아치모비치 | 1945년 5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 의해 사살되었다. |
타나시예 디니치 | 전쟁 후 유고슬라비아 당국에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 |
건설부 장관 | 오그넨 쿠즈마노비치 | 정부 붕괴 후 사망할 때까지 독일에 체류했다. |
우정전신부 장관 | 요시프 코스티치 | 전쟁을 살아남아 1960년 스위스에서 사망했다. |
대통령 위원회 장관 | 모므칠로 얀코비치 | 다른 장관들과의 의견 충돌 후 정부를 떠났으며, 1944년 파르티잔에 의해 처형되었다. |
교육부 장관 | 밀로시 트리부나츠 | 1944년 파르티잔에 의해 처형되었다. |
벨리보르 요니치 | 전쟁 후 유고슬라비아 당국에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 |
재무부 장관 | 두샨 레티차 | 1943년 정부를 떠났고, 1945년 7월 소비에트에 의해 함부르크에서 체포되어 유고슬라비아로 송환되었다. 전쟁 후 처형되었다. |
류비샤 M. 보이치 | 1944년 정부를 떠났고, 1980년 여름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에 의해 처형되었다. | |
두샨 조르제비치 | 전쟁을 살아남아 1969년 오스트리아에서 사망했다. | |
노동부 장관 | 판타 드라슈키치 | 전쟁 후 유고슬라비아에서 수감되었으며, 네디치 정권 구성원 중 유일하게 처형되지 않고 국가에 남은 인물이다.[26] |
사법부 장관 | 체도미르 마르야노비치 |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미국군에 체포되어 유고슬라비아 당국에 인도되었고, 전쟁 후 처형되었다. |
보골류브 쿠윤드지치 | 전쟁을 살아남아 1949년 사망했다. | |
사회정책 및 국민보건부 장관 | 요반 미유슈코비치 |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 체포되어 1944년 처형되었다. |
스토이미르 도브로사블례비치 | 1943년 정부를 떠났고 전쟁 후 처형되었다. | |
타나시예 디니치 | 전쟁 후 유고슬라비아 당국에 체포되어 유고슬라비아 당국에 의해 처형되었다. | |
농업부 장관 | 밀로시 라도사블례비치 | 베오그라드에서 탈출하여 전쟁을 살아남았고, 1969년 불가리아에서 사망했다. |
라도사브 베셀리노비치 | 전쟁 후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 |
국민경제부 장관 | 미하일로 올찬 | 전쟁 후 탈출하여 1961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사망했다. |
밀로라드 네델코비치 | 전쟁 후 탈출하여 1961년 프랑스에서 사망했다. | |
교통부 장관 | 주라 도키치 | 전쟁 후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
2008년, 세르비아 야당인 세르비아 자유당은 베오그라드 지방법원에 밀란 네디치의 명예 회복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60] 이는 세르비아 유대인 사회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60]
7. 체트니크와의 관계
드라자 미하일로비치가 이끄는 체트니크는 1941년 가을, 서부 세르비아에서 파르티잔에 대한 독일의 대규모 작전인 우지체 작전 기간에 세르비아 괴뢰 정부와 협력하기 시작했다. 체트니크는 독일의 보복으로 인한 세르비아인 사상자를 최소화하고, 전쟁이 끝날 무렵 파르티잔보다 먼저 정권을 장악하기 위해 네디치 정권의 군사 및 행정 기구 내에서 확고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했다.[15]
내무장관 밀란 아치모비치를 포함한 세르비아 정부의 많은 구성원들이 체트니크와 내통했다. 아치모비치는 독일군과 미하일로비치 사이의 연락책 역할을 했다. 여러 체트니크 부대는 세르비아 괴뢰 정부의 친나치 협력자 부대에서 복무하며 "합법화"되었지만, 동시에 독일군과 그들의 보조 부대에 대한 활동에도 참여했다. 정부군은 체트니크에게 무기와 물자를 제공하고 정보를 제공했다.[15]
합법화된 체트니크 부대에는 페차나츠 체트니크가 포함되었는데, 이들은 1941년 8월부터 세르비아 정부군과 함께 파르티잔과 싸웠다. 1942년 5월, 합법화된 체트니크는 최대 13,400명에 달했다. 이들은 독일군의 지휘를 받았으며, 대부분 1942년 말에 해산되었고 마지막 부대는 1943년 3월에 해산되었다. 일부는 세르비아 자원군단(SDK)에 합류했지만, 대부분은 미하일로비치의 불법 체트니크로 돌아갔다.[16]
체트니크는 1943년에 세르비아 괴뢰 정부를 우회하여 독일군과 여러 차례 협정을 맺었다. 이로 인해 네디치 정권은 국민들의 지지를 잃었다. 정부 관리, 군인, 경찰관을 포함한 많은 행정부 구성원들이 체트니크와 비밀 거래를 했다. 여기에는 아치모비치, 베오그라드 시장 드라고미르 요바노비치, 국가경비대 사령관 미오드라그 다마야노비치 장군이 포함되었다.[17]
참조
[1]
서적
Hehn (1971)
[2]
서적
Tomasevich (2001)
[3]
서적
The States of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Ashgate
1999
[4]
서적
Balkan holocausts?: Serbian and Croatian victim-centred propaganda and the war in Yugoslavia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2
[5]
서적
Identity Politics in the Age of Genocide: The Holocaust and Historical Represent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
[6]
서적
Tomasevich (2001)
[7]
서적
Tomasevich (2001)
[8]
웹사이트
Uvod U Knjigu Cetnici Koste Pecanca Milorada Kozica - ISTORIJA NIŠA
http://istorijanisa.[...]
2024-04-15
[9]
서적
The Three Yugoslavias: State-Building and Legitimation, 1918–2005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06
[10]
서적
Tomasevich (2001)
[11]
서적
Tomasevich (2001)
[12]
서적
Tomasevich (2001)
[13]
서적
Tomasevich (2001)
[14]
서적
Tomasevich (2001)
[15]
서적
Tomasevich (2001)
[16]
서적
Tomasevich (2001)
[17]
서적
Tomasevich (2001)
[18]
서적
Tomasevich (2001)
[19]
서적
Balkan holocausts?: Serbian and Croatian victim-centred propaganda and the war in Yugoslavia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2
[20]
서적
Tomasevich (2001)
[21]
서적
Tomasevich (2001)
[22]
서적
Brborić (2010)
[23]
서적
Tomasevich (2001)
[24]
서적
Tomasevich (2001)
[25]
서적
The Death Camps of Croatia: Visions and Revisions, 1941–1945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2013-05-12
[26]
웹사이트
Панта Драшкић – цена части („РТС“, 2. новембар 2015)
http://www.rts.rs/pa[...]
2015-11-02
[27]
서적
Koljanin (2010)
[28]
서적
Balkans in Our Time
Harvard University Press
1956
[29]
서적
War and Revolution in Yugoslavia, 1941-1945: Occupation and Collabora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1
[30]
웹사이트
http://beamte.freepa[...]
[31]
서적
Balkans in Our Time
Harvard University Press
1956
[32]
서적
Partisans and guerrillas
Time-Life Books
1980
[33]
서적
Cohen, Phillip J.
[34]
서적
Cohen, Phillip J.
[35]
서적
Cohen, Phillip J.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Serbia's Secret War: Propaganda and the Deceit of History
[40]
서적
[41]
서적
War and Revolution in Yugoslavia, 1941-1945: Occupation and Collaboration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1
[42]
웹사이트
http://chgs.umn.edu/[...]
[43]
웹사이트
Pavlovic International Bank
http://www.pavlovic-[...]
[44]
이미지
http://www.atsnotes.[...]
[45]
이미지
http://www.atsnotes.[...]
[46]
웹사이트
Serbia km31 1 Dinar (1942)
http://worldcoingall[...]
[47]
웹사이트
POTISNUTA ISTINA
http://www.znaci.net[...]
[48]
웹사이트
Paragraf Co
http://www.paragrafc[...]
[49]
서적
Kinematografija u Srbiji tokom Drugog svetskog rata 1941-1945.
Ibis
1994
[50]
서적
Kinematografija u Srbiji tokom Drugog svetskog rata 1941-1945.
Ibis
1994
[51]
웹사이트
History of FC Obilić
http://www.fcobilic.[...]
[52]
웹사이트
Serbian National Theatre, Belgrade
http://digital.nbs.b[...]
[53]
서적
Balkans in Our Time
Harvard University Press
1956
[54]
서적
Belgrade's Best: The Serbian Volunteer Corps, 1941-1945
Axis Europa Books
2001
[55]
서적
The Origins of the Final Solution: The Evolution of Nazi Jewish Policy, September 1939-March 1942 (Comprehensive History of the Holocaust)
Yad Vashem, the Holocaust Martyrs' and Heros' Remembrance Authority
2004
[56]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the Holocaust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90
[57]
서적
Partisans and guerrillas (World War II; v. 12)
Time-Life Books
1980
[58]
서적
Balkans in Our Time
Harvard University Press
1956
[59]
웹사이트
Панта Драшкић – цена части („РТС“, 2. новембар 2015)
http://www.rts.rs/pa[...]
2015-11-02
[60]
웹사이트
Milan Nedić and Prince Paul again dividing Serbia
http://www.blic.co.y[...]
[61]
서적
1971
[62]
서적
Balkan holocausts? : Serbian and Croatian victim-centred propaganda and the war in Yugoslavia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